소외 이웃 찾아가는 - 희망드림영화관
“영화 한 편이 삶을 바꿀 수는 없지만, 삶의 가치를 생각할 기회를 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영화를 통해 소외되고 외로운 이들의 마음을 열고 더불어 산다는 의미를 이 작은 봉사로 실현하고 싶습니다”
영화를 통해 사회 구성원에게 작은 울림과 희망을 전하고자 서초구 반포1동주민센터 내 작은도서관에서 활동하던 자원봉사자 6명이 뭉쳤다.
이들의 영화 나눔은 지난 2012년 9월 반포1동 주민센터 <우리동네 작은 영화관>에서 시작됐다. <작은 영화관>은 동네 주민들을 대상으로 자치회관 중 일정 시간대에 활용하지 않는 문화교실, 대강당 등 유휴공간을 이용해 흔히 접하기 힘든 세계 각국의 예술영화나 독립 영화를 엄선하여 재능기부 봉사자의 해설과 토론을 곁들인 방식으로 운영된다.
독일 영화 ‘타인의 삶’을 상영한 첫 회, 주민센터 직원들까지 포함하여 18명의 관객으로 시작한 <작은 영화관>은 지금까지 38편의 영화를 상영했고, 현재 하루 평균 관객 70명 정도로 다녀간 주민만도 3,000여 명에 이른다.
반포1동 <작은 영화관>이 입소문을 타자 지난해 6월에는 ‘심산기념문화센터-심산예술영화관’, 이어 ‘방배열린문화센터-방배열린영화관’등 서초구 곳곳에서 예술영화, 독립영화를 보여 주거나 인문학 강의를 통해 주민들과 영화를 통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유휴공간을 이용한 ‘작은 영화관’은 전문 상영관이 아니라 기존 시설물을 이용한다는 점과 시중 상영관에서 흔히 보기 힘든 세계 각국의 예술영화나 독립 영화들을 선정하여 주민들과 함께 보고 재능기부 봉사자의 해설을 곁들인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영화관을 운영하는 봉사자들 역시 모두 지역 내 주민들로, 주민이 주인이라는 의식 하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관심을 끌고 있다.
◆영화상영 관련한 저작권법 검토
저작권법 제29조(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는 공연ㆍ방송) ①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고 청중이나 관중 또는 제3자로부터 어떤 명목으로든지 반대급부를 받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공표된 저작물을 공연 또는 방송할 수 있다. 다만, 실연자에게 통상의 보수를 지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한편, 최하진 씨를 비롯한 자원봉사자들은 그동안의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서 소외된 이들에게 영화를 통한 나눔을 실현하기 위하여 <찾아가는-희망드림영화관>을 진행할 예정이다.
<찾아가는-희망드림영화관>은 이동 영화관으로 말하자면 배너 광고를 펼친 곳이 곧 영화관이 되는 셈이다. 지난 5월 21일 성동구치소 재소자 70명을 대상으로 한 영화봉사를 마치고 큰 힘을 얻어 지난 6월 26일(목) 경기도 의왕시 서울소년원(고봉 중·고등학교)에서 벨기에 영화 <자전거 탄 소년>을 상영했다.
기획 및 무비큐레이터로 진행을 맡고 있는 최하진(50)씨는 “영화는 특별한 사람에게만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준비된 선물”이라고 말하면서 “작지만 울림이 있는 영화로 소외되고 그늘진 곳을 찾아가 온기를 전하고 싶다”며 웃었다.
'여우가 행복한 도시 > 서초구가 알려드려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호선 서울지하철 스탬프 투어 (☜클릭) (0) | 2014.07.17 |
---|---|
가족과 함께하는 건강 COOK! 오감체험 만족도조사 (0) | 2014.07.16 |
서초구, 서울시 자치구 중 행복감 지수 1위 차지 (0) | 2014.07.16 |
제5회 세계화폐전시회 개최 (0) | 2014.07.16 |
학부모 인성 코칭 교실 수강생 모집 (0) | 2014.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