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저녁으로 제법 시원한 바람도 불고 어느새 추석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추석맞이 명절 제수용품과 추석선물을 한번에 해결하는 < 2014년 대한민국 식품대전> 을 소개해드립니다.
농림축산부가 주최하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주관하는 < 2014 대한민국 식품대전>이 2014년 9월 2일 부터 9월 5일까지 서초구 양재동 at 센타에서 “ 전통발효음식의 향연 - 발효 꽃이 피었습니다.” 라는 주제로 제 1, 2 전시장에서 개최되고 있는데요. 9월 3일 수요일에 다녀왔습니다.
올해 6회째를 맞이하는 대한민국식품대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로 관람을 할 수 있고요. 380여개 식품업체가 참여한 가운데 우수 전통발효식품 1,580여 종과 추석선물, 명절 제수용품들이 시중가 보다 저렴하게 전시 판매되고 있습니다.
1층에 위치한 제 1전시장에는 제주도관, 전라남도관, 전라북도관, 경상북도관, 경상남도관, 충청북도관과 통합정책홍보관이 있는데요.
통합정책홍보관에서는 ‘농산물파워브랜드대전’도 함께 개최되어 대통령상을 수상한 의성마늘과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곡성멜론을 비롯한 22개 우수농산물도 함께 볼 수 있어서 유익했습니다.
아침부터 비도 오고 전시관에 사람들이 적을 줄 알았더니~ 웬걸? 우와~ 추석선물과 제수용품을 구입하러 온 참관객들로 인산인해~!!
오전 11시에 입장했으나 제주도관에서 파는 오메기떡은 순식간에 매진되고, 감귤로만 반죽해서 만들었다는 제주 유과도 순식간에 금방 다 팔려서 소비자의 관심과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전라북도 관내 ‘마이산 현미발효밥’ 부스에서는 참관객들에게 갓 지은 뜨거운 흑미콩밥과 잡곡밥을 시식용으로 나눠주었는데요. 종이컵 한컵 분량의 밥을 받아서 옆에 ‘남원 미꾸리 추어탕’ 부스에서 주는 시식용 추어탕을 밥하고 같이 먹으니까 든든하더군요. 밥을 받아서 바로 앞에 있는 젓갈코너에 가서 시식용 젓갈을 반찬으로 드시는 분도 있었고 점심때라 밥을 먹으려는 참관객들의 인기를 독차지 했습니다.
경상남도 관내 ‘견불동 전통식품’에서는 간장, 고추장, 된장 등 장류를 전시 판매하고 있었는데요. 12년간 숙성했다는 된장을 워낙 귀한 거라 콩알만큼 떼어서 시식용으로 주었는데, 먹어보니 된장 맛이 구수하고 식감이 쫀득쫀득한게 12년이나 되었다는 것이 놀라왔습니다.
3층에 위치한 제 2 전시장에는 서울경기관, 강원도관, 충청남도관, 전통주 전시관, 식품명인관이 있는데요. 특별전시관으로 운영되는 식품명인관에서 차의 명인, 김치의 명인, 술의 명인, 장의 명인, 한과의 명인등 대한민국 식품 명인들이 장인 정신으로 만든 귀한 작품들을 만나 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전통주 전시관에서는 벨기에, 영국, 미국등 세계 3대 주류 품평회에서 수상한 수상작을 비롯한 대한민국에서 생산되는 여러가지 막걸리, 과실주, 약주, 청주, 소주등을 전시 판매하고 시음도 할 수 있어서 애주가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는데요. 하향주, 미나리막걸리, 유자막걸리, 울금막걸리등을 시음해보았는데 맛이 아주 좋아서 몇병 샀습니다.
대한민국 식품대전에서는 참관객을 대상으로 이벤트 행사도 하고 있는데요.
전통발효식품 관련 OX퀴즈와 전통놀이 우승자에게 참가업체에서 상품을 주는 복주머니 타기, 발효음료와 한방차로 진행되는 ‘복불복 발효음료 찾기’ 행사와 참관객이 1층과 3층의 우수부스와 우수상품 선정에 응모하면 추첨을 해서 푸짐한 경품행사도 하고 있습니다. 마침 OX 퀴즈 이벤트가 한창 진행 중이었는데 관람객들의 호응이 대단했습니다.
또한 매일 체험프로그램도 진행되어 쌀로 만든 건강도시락, 아삭 김치만들기, 닭쌀 요리만들기, 떡 케이크 만들기, 부각만들기, 고추장 만들기, 라이스 클레이 만들기등 다양한 요리를 직접 만들어보고 시식할 수 있는데요. 요리에 관심이 많은 분들은 사전 접수나 현장 접수를 하고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at 센타 주 출입구에는 추석차례상 견본까지 실물로 전시되어 추석음식 놓는 순서를 참고할 수 있고요. 야외전시장에서는 제수용품과 과일등 전국 팔도 우수 농산물이 전시 판매되고 있어서 편리하게 추석 장보기를 할 수 있습니다.
양재동 at 센타는 지하철 신분당선 ‘양재 시민의 숲’ 역에서 하차, 4번 출구에서 50미터 직진하면 있습니다.
'서초女幸방방곡곡 > 여행리포터 취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출발, 방배2동 작은도서관 (0) | 2014.09.04 |
---|---|
봉사는 꼬리에 꼬리를 물고 - 정효재씨의 봉사 생활 인터뷰 - (0) | 2014.09.04 |
추석맞이 송편나눔축제 까리따스 방배종합사회복지관 (0) | 2014.09.04 |
주말 농장의 즐거움 (2) | 2014.09.03 |
태안 서초휴양소 (5) | 201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