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한국음악 프로젝트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젊은 한국음악을 지향하면 등장하였다고 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2007년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는데요. 21세기에 나아가야 할 전통음악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역량 있는 신진 작곡인과 우수한 국악창작곡을 발굴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창작국악 경연대회라고 합니다. 이번 2014 한국음악 프로젝트에서 본선에 오른 12팀의 신명 나는 무대를 기대하면서 국립국악원으로 향했습니다.
이 번 2014 한국음악 프로젝트에 오른 12팀은 천우, 올굿, 프리에프엠, 온다, 풋낯, 정가앙상블소울지기, 다올소리, 화접몽밴드, 짙음, 국악밴드소름, 케이브릿지, 보편적예술단이었습니다. 먼저, 천우는 북, 대금, 꽹과리, 장구와 더불어 기타와 색소폰의 음색을 더함으로써 월드뮤직의 창조를 지향하는 듯 했습니다.
창작곡 ‘화’는 강력한 타악 연주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는 듯했습니다. 올굿 역시 해금, 피리, 태평소 등에 베이스, 건반 등을 더해 ‘노다가세’라는 곡을 연주했습니다. 이 노래는 힘들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견뎌냄조차 즐거움으로 승화시킬 수 있도록 힘을 주는 듯했습니다.
프리에프엠은 두 명의 보컬과 함께 드럼까지 가세한 팀이었습니다. 춘향가의 사랑가를 모티브로 하여 과거와는 달리 자유분방한 현대의 사랑을 노래했습니다. 온다는 어쿠스틱 음악을 지향하는 팀으로, 신라향가인 제망매가를 모티브로 누이와의 사별을 노래했습니다.
풋낯은 민요 배 띄워라를 모티브로 인생을 망망대해에 떠 있는 배로 비유하여 노래했습니다. 정가앙상블소울지기는 ‘언약이 늦어가니’라는 음악을 연주했는데요. 오지 않는 님을 기다리는 마음을 현대적 감상에 맞게 변용하였습니다.
다올소리는 ‘숨비소리’라는 음악을 소개하였는데, 숨비소리란 좀녀(해녀)들이 물질할 때 물 밖으로 나오면서 내뿜는 휘파람 소리로, 거친 바다와 맞서는 해녀들의 애환을 표현했다고 합니다.
화접몽 밴드는 콘트라베이스, 그리고 팝핍댄서까지 섞여 국악, 밴드, 클래식, 힙합이 섞여 zazz를 만들어 내었습니다. 아내의 귀신과의 외도를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였다고 합니다. 짙음은 한예종 출신들로 이루어진 팀이라고 하는데, ‘새야 새야’라는 노래를 통해 날개 없는 것들의 슬픔을 노래하는 듯 했습니다.
국악밴드 소름 역시 제주도 해녀에 관한 노래를 연주했는데요. 이별없는 이상향에 대하여 메기고 받음으로써 생생한 감각을 살렸습니다. 케이브릿지는 경희대 학생들로 구성이 되었는데, 님을 그리워하는 ‘몽련가’를 역설적으로 흥겹게 표현하였습니다. 보편적 예술단은 단 세 명으로 구성되었는데, 풍물에서 쓰이는 칠채가락을 이용해 흥겨운 가락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연주가 끝나고 시상식이 열렸습니다. 꽤 많은 팀이 수상을 했는데, 모두 수상할 만한 자격이 있다고 생각되었습니다. 이렇게 국악을 계승하려는 젊은이들이 있어, 우리나라 음악의 미래도 밝은 것 같습니다.
'서초女幸방방곡곡 > 여행리포터 취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안 서초휴양소 (5) | 2014.09.03 |
---|---|
2014 서울시향 유럽 투어 프리뷰 콘서트 (0) | 2014.09.03 |
더불어 만드는 세상 '서초구 협동조합 아카데미' (0) | 2014.09.03 |
서울 열린예술극장을 아시나요? (0) | 2014.09.03 |
신관광명소로 떠오르는 세빛섬 환상의 야경 보셨어요? (0) | 2014.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