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초女幸방방곡곡/여행리포터 취재기

선율이 흐르는 가곡의 밤

 

 

 

문 너머 매~앰~~맴 기나긴 여름을 노래하던 매미들의 울음 소리가 어느 순간 사라지고 열린 창 사이로 가을 바람이 살포시 방안을 기웃 거리네요. 여름을 만끽 하기도 전 어느사이 가을이라니..... 지난주에 이어 예술의 전당 신세계 스퀘어 야외 무대에서는 ‘문화가 있는 토요일’ 두 번째 날을 맞아 ‘고향의 노래’를 테마로 가곡의 밤이 열렸습니다.

 

 

가을을 생각하면 제일 먼저 추석이 떠오르고, 추석하면 역시 고향이 그리워지곤 하죠. 중후한 바리톤 강형규님의 오가며 그 집 앞을 지나노라며 그리워 나도 몰래 발이 머물고......잊으려 옛날 일을 잊어버리려 불빛에 빗줄기를 헤며 갑니다~~  노랫말에서도 있듯이 ‘그 집 앞’ 에서의 추억을 떠올리며 고향의 향수에 젖어 봅니다.

‘가고파‘ 과연 어디를 그토록 가고 싶어 할까요?

어릴 제 같이 놀던 그 동무들 그리워라 / 어디 간들 잊으리오 그 뛰놀던 고향동무~~ 고향을 떠나와 타향에서 그 어릴 적 동무와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은 모두가 같은지 숙연해지고 곁에선 어느 사이 콧노래로 함께하며 그리움에 젖어드네요.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냇가에 수양버들 춤추는 동네 그 속에서 놀던 때가 그립습니다~ ‘고향의 봄‘ 이 하이톤으로 울려 퍼질 땐 지나가는 구름마저도 그리운 고향을 그리워나 하듯 움직임조차 느껴지지 않네요. 고향을 등지고 귀순한 바리톤 김충성님이 부른 ‘임진강‘ 은 여느 성악가가 부르는 노래보다 더 애잔함이 있네요. 다른 이들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돌아갈 고향이 있지만 2004년 귀순해 고향을 지척에 두고도 부모 형제를 그리워만 해야되니 뼛속까지 아려온다는 느낌이 이런거겠죠?

이 노래는 남북이 임진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분단되어 싸우는 아픔을 나타내면서 통일을 염원함이 담겨 있어서인지 듣는 내내 흐느낌 같은 떨림이 느껴졌답니다

 

 

귀에 익숙한 가수 이동원님의 ‘향수’는 가끔은 접할 수 있어서인지 모두가 하나되네요. 옛날에 생각하는 고향은 너무 멀리 있어 생각만 해도 그리웠는데 요즘은 아침에 갔다 저녁이면 돌아올 수 있어 애잔함이 예전에 비해 많이 다르다하네요.

 

 

늘은 군복을 입은 군인 아들들의 모습이 무리지어 앉아 있는데 혹 엄마의 모습이라도 잠시 볼 수 있을까 싶어 두리번거리는 아이들의 눈을 보니 나만 외박 나온 아들과 함께 한 것 같아 미안함이 드네요.

온 가족이 노래도 듣고 함께여서 행볶감을 만끽할 수 있어 다음 주말 '조국의 노래'도 손꼽어 기다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