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궁중음식 이야기
궁중음식은 이름을 들어도 무엇인지 잘 모르는 음식이 많습니다. 궁금음식에는 무슨 음식이 있으며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타락죽
불린 쌀을 갈아서 물과 우유를 넣고 끓입니다. 타락죽은 소주방에서 끓이지 않고 내의원에서 끓였다고 하죠^^
▶ 골동반(骨董飯)
비빔밥을 가리킵니다. 비빔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궁중의 비빔은 밥에 여러 가지 익힌 나물과 볶은 고기를 넣어 고루 비벼서 대접에 담고 위에 알지단, 생선전, 튀각 등을 얹어서 먹는데 고추장은 넣지 않습니다. 일설에 의하면 궁중에서 섣달 그믐날에는 비빔밥으로 묵은해의 마지막 식사를 하고 새해는 첫음식으로 떡국을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이는 그믐날 남은 음식을 해를 넘기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 도미찜
도미를 다듬어서 살만 떠서 이를 5cm폭으로 넓적하고 어슷하게 토막을 내어 전을 부칩니다. 쇠고기와 표고, 석이, 미나리, 당근, 양파 등은 채로 썰어 전골냄비에 돌려 담고, 채소를 돌려 담고 장국을 부어서 끓입니다. 또 다른 방법은 도미를 통째로 칼집을 넣어 장국을 부어 끓이고, 따로 장국에 표고, 석이, 미나리, 당근, 양파 등을 썰어서 한데 넣어 끓이다가 녹말가루를 물에 풀어 넣어 걸쭉하게 익혀서 도미 위에 끼얹어서 냅니다.
▶석박지
무와 배추를 사방 5cm 정도의 크기로 썰어 절여서 갖은 양념으로 버무립니다. 궁중에서 수랏상에 올리는 김치는 무는 반듯하게 썰고, 배추도 중간의 좋은 부분의 잎만을 골라서 따로 담구어서 올렸다고 합니다.
▶ 송송이
깍두기를 이르는데 무를 네모로 썰고 배추속대와 파, 미나리, 굴 등을 합하여 양념으로 버무려서 익힙니다. 무를 살짝 데쳐서 담은 것은 숙깍두기라고 합니다.
'미녀들의 수다秀多 > 맛있는 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분자술 & 복분자주스 담그는법 (2) | 2013.08.21 |
---|---|
우리 아이 이유식 만들기 3단계 (0) | 2013.08.13 |
베샤멜 소스&미트소스 집에서 만들기 (0) | 2013.08.05 |
맛과 영양이 듬뿍! 견과류로 만든 웰빙간식레시피 (1) | 2013.08.01 |
여름 무더위, 입맛 살려주는 장아찌[마늘, 양파, 깻잎] (1) | 201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