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초女幸방방곡곡/여행리포터 취재기

서로 돕고 사는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서초구 마을공동체

 

 

 서로 돕고 사는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

서초구 마을공동체

 

                                                                                                by 서초여행 최연수 리포터

 

 

 

 

올 초반 서울시 마을공동체사업에 아쉽게 탈락을 하고 사업계획서를 쓰기 위한 시간과 정보가 부족했던 것을 보충 해서 서초구 마을공동체 주민제안공모사업에 지원하려고 준비하던 중에 실질적인 사업설명서 작성법에 대한 마을공동체 설명회가 있다고 해서 서초구청에 다녀왔다.

 

 

 

 

마을공동체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의 이유가 도시의 붕괴에 있다고 보고 전통적인 촌락의 정서로 돌아가서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관계를 이루어 지역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자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부모커뮤니티 활성화, 마을예술창작소조성, 마을미디어활성화, 안전마을활성화, 아파트마을공동체활성화, 우리마을프로젝트 등 외에도 10개의 사업내용이 있으며 재단,사단과 같은 법인, 민간단체와 같은 비영리법인 등의 단체 혹은 3인 이상의 주민이 모여 지원을 할 수 있다.  

 

작년 9월부터 시작된 마을공동체 사업은 주민들이 자치적으로 마을을 운영 할 수 있도록 소정의 비용을 중앙부에서 지원을 해 주고 마을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마을공동체 사업설명서를 잘 작성하기 위해서는
- 내가 생각한 컨셉(concept)을 사업명 혹은 그룹이름으로 어떻게 잘 나타낼 것인지
- 공공의 과제 혹은 주민이 필요로 하는 사업의 필요성을 잘 제시하고
- 목표 및 성과측정방법의 구체적으로 기술
-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 보장 여부와 예산의 현실성, 민감 파트너쉽 여부 등을
자세히 기재하여 수행 가능성 및 사업의 현실성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마을공동체 사업계획서와 예산을 작성하다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http://www.seoulmaeul.org)에서 직접적인 상담도 받을 수 있다.

 

 

 

 

 [ 2013년 서초구 마을공동체 주민제안공모사업 ]


①제안기간: 2013년 4월 15일 ~ 5월 13일


②지원사업 선정: 2013년 5월 31일


③사업추진 : 2013년 6월 ~ 12월 (사업종료 후 1개월 이내 사업 결과 보고서 제출)


④대상지역 : 서초구 관내 전 지역 주민 3인 이상으로 조직된 주민 자치 조직


⑤사업비 : 사업별 2백만원 이내 지원( 사업비의 10% 이상 자부담 필수)


⑥접수방법 : 서초구 홈페이지(http://www.seocho.go.kr) 공고/공시 혹은 다음카페 서초마을 사랑방 (http://cafe.daum.net/maeulsarang) 공지사항에서 사업제안서, 사업제안자 소개서, 마을공동체 사업계획서를 내려 받아 작성


⑦접수처: 서초구 남부순환로 2584 서초구청 문화행정과 마을공동체지원팀
tel. 02-2155-6217 ~8 / email.hy2012@seocho.go.kr